목록전체 글 (34)
이슈멘토

조선 26대 왕 고종"高宗"은 1852년 9월 8일(음력 7월 25일) "이하응(흥선대원군)"과 "여흥부대부인 민씨"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이름은 "이명복"이며 이후 "이재황"으로 변경했습니다. "고종"은 역대 조선 임금 중에서 가장 왕위와 거리가 멀었던 인물이지만 할아버지 "남연군"이 사도세자의 아들 "은신군"의 양자로 들어가면서 항렬이 맞춰지게 되었습니다.(생부로 거슬러 올라가면 "인조(16대 왕)"까지 가야 된다.) "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된 것은 아버지 "이하응"의 작품이었다고해도 무방한데 "철종(25대 왕)"이 후사가 없고 병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당시 왕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신정왕후 조씨"에게 접근해 신임을 얻습니다. 이후 "이하응"은 당시 권력을 잡고 휘두르며 ..

조선 24대 왕 철종"哲宗"은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사도세자"의 아들 "전계대원군"의 3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원범"이며 피휘때문에 "이변"으로 변경했습니다. 왕위와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었던 "철종"은 영조(21대 왕)가 뒤주에 가두어 죽게 만든 아들 "사도세자"의 서자이자 셋째 아들로 태어난 "은원군"의 여섯 번째 아들 "전계대원군"의 셋째 아들입니다. "철종"의 할아버지 "은원군"은 역모를 꾸몄다는 의혹을 받으며 모든 식구들이 교동도로 유배를 갔다가 풀려나기도 했는데 철종이 14살 무렵에도 역모에 휩싸이며 교동도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강화도로 옮겨지게 되었습니다. "철종"은 왕족이라기보다는 죄인의 신분으로 어린 시절을 보냈는데 이후 농사를 지으며 평범하게 성장하게 됩니다...

조선 24대 왕 헌종"憲宗"은 1827년 9월 8일(음력 7월 18일) 순조(23대 왕)의 아들 "효명세자(익종)"와 "신정왕후 조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환"입니다. "헌종"의 아버지 "효명세자"가 할아버지 "순조"를 대신해 국정을 운영(대리청정)하면서 다음 왕위를 이어받는 듯했지만 1830년 6월 25일(음력 5월 6일) 22살의 젊은 나이에 "효명세자"가 사망하면서 다시 "순조"가 국정을 운영하게 됩니다. 이후 효명세자의 하나뿐인 아들 "헌종"이 1830년 10월 왕세손에 책봉되었으며 1834년 12월 13일(음력 11월 13일)에는 "순조"가 44세의 나이에 사망하면서 "헌종"이 8살의 나이에 조선 24대 왕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조선 역사상 가장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른 "헌종"은 국..

조선 23대 왕 순조"純祖"는 1790년 7월 29일(음력 6월 18일) 정조(22대 왕)와 후궁이었던 "수빈 박씨"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공"입니다. "정조"와 왕비 "효의왕후 김씨"사이에는 자녀가 없었고 "의빈 성씨"사이에서 1782년 태어난 첫째 아들 "문효세자"가 태어났지만 5살에 사망하면서 순조가 1800년 1월 1일 왕세자에 책봉됩니다. 그리고 정조가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 49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11살이었던 "순조"가 조선 23대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이후 어린 "순조"를 대신해 당시 궁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영조(21대 왕)의 계비 "정순왕후 김씨"가 수렴청정(국정을 대신해 처리함)을 했으며 1804년에 친정(직접 나라의 정사를 돌봄)을 시작..

조선 22대 왕 정조"正祖"는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비극적으로 사망한 "사도세자(장헌세자)"와 "혜경궁 홍씨(헌경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산"입니다. "정조"는 11살이었던 1762년 할아버지(21대 왕 영조)가 아버지(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사망하게 만드는 비극적인 사건을 겪기도 했습니다. 위와 같은 일 때문에 "정조"가 왕위를 이어받는데 걸림돌이 많았지만 "영조"의 뜻이 확고했기 때문에 어린 나이에 사망한 자신의 첫째 아들 "효장세자(진종)"의 양자로 입적해 제왕 수업을 이어가게 됩니다. 이후 "영조"의 병환이 깊어지자 "정조"가 대리청정을 수행했으며 이듬해인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 83세의 나이에 "영조"가 세상을 떠나자 조선 22대 왕위에..

조선 21대 왕 영조"英祖"는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숙종(19대 왕)과 무수리 출신이었던 "숙빈 최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금"이며 이후 "연잉군"에 봉해졌습니다. "숙종"이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 세상을 떠나면서 조선 20대 왕은 "희빈 장씨(장희빈)"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 "경종"이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생모가 사약을 받고 사사되는 것을 경험하는 등 어린 시절부터 스트레스가 심했던 "경종"은 몸도 매우 허약했기 때문에 자녀를 낳지 못합니다. 이후 자신의 이복동생 "연잉군(영조)"을 세자에 책봉하게 되었고 재위 4년 2개월이 되던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 37세의 나이에 "경종"이 사망하면서 "영조"가 조..

조선 20대 왕 경종"景宗"은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숙종(19대 왕)과 후궁이었던 희빈 장씨(장희빈:본명 장옥정)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윤"입니다. 당시 "희빈 장씨"는 후궁이었지만 "숙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왕비의 아들을 기다리지 않고 100일도 안돼서 "이윤"을 "원자"에 책봉하면서 많은 논란을 불러옵니다. 하지만 숙종의 뜻은 강력했는데 1689년 "기사환국"을 일으키며 반대하는 서인 세력들을 제거했고 또한 당시 왕비였던 "인현왕후"를 폐비시키고 "희빈 장씨"를 "왕비"로 책봉하고 "이윤"을 "왕세자"로 책봉하게 됩니다. 이후 "경종"은 숙종의 신임을 받으며 성장했지만 어머니 "장희빈"이 숙종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되고 또한 왕비로 복귀한 "인연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