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Link
관리 메뉴

이슈멘토

역대 조선 임금 8대 왕 예종 가계도 본문

역대 조선 왕 가계도

역대 조선 임금 8대 왕 예종 가계도

빌딩멘토 2021. 8. 26. 00:04

조선 8대 왕 예종"睿宗"은 1450년 1월 14일(음력 1월 1일) 수양대군(7대 왕 세조)과 "정희왕후 윤씨"사이에서 2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황"입니다.

아버지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 단종(7대 왕)의 왕위를 강압으로 찬탈해 조선 7대 왕위에 오르면서 "해양대군"으로 봉해졌으며 첫째 형이었던 의경세자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자 1457년 "왕세자"에 즉위합니다.

 

이후 아버지 세조(수양대군)에 뒤를 이어 1468년 9월 22일(음력 9월 7일) 19살의 나이에 조선 8대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자신의 뜻을 제대로 펴보지도 못하고 재위 14개월만에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되었고 다음 왕위도 자신의 자녀에게 물려주지 못했습니다.

 

예종은 2명의 부인 사이에서 아들 2명과 딸 1명을 두었는데 첫째 아들 "인성대군"은 어린 나이에 사망하고 둘째 "제안대군"은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왕위를 이어받지 못했습니다.


조선 8대 왕 예종"睿宗" 
출생~사망: 1450년~1469년
재위 기간: 1468년~1469년

"출생~사망"


● 장순왕후 한씨 "1445년~1461년" (상당부원군 "한명회"의 딸)
  - 인성대군 "1461년~1463년"

● 안순왕후 한씨 "1445년~1498년" (청전부원군 "한백륜"의 딸)
  - 제안대군 "1466년~1525년"

  - 현숙공주

조선 임금은 1명의 왕비를 두게 되지만 사망하거나 폐비되면 다음 왕비(계비)를 선택합니다.  왕위를 이어받는 왕의 아들은 "왕세자"라고 하며 왕비의 아들은 "대군", 딸은 "공주"입니다.

 

후궁은 왕의 부인으로 올리는 것이 아니라 정1품 "빈"에서 종4품 "숙원"까지의 품계를 받게 되는 직책으로 아들은 "군", 딸은 "옹주"라고 부릅니다.

 

이후 조선 9대 왕은 예종(8대 왕)의 형 "의경세자(덕종)"의 둘째 아들 "자을산군(성종)"이 1469년 이어받게 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