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멘토
역대 조선 임금 7대 왕 수양대군(세조) 가계도 본문
조선 7대 왕 세조"世祖"는 1417년 11월 2일(음력 9월 24일) 세종(4대 왕)과 "소헌왕후 심씨"사이에서 문종(5대 왕)에 이어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유"입니다.
처음 "진평대군"으로 불리다가 "함평대군" 그리고 다시 "진양대군"으로 봉해졌는데 1445년(세종 27년)에 최종적으로 "수양대군"으로 봉해지게 되었습니다.
수양대군은 첫째 형 "문종"이 1450년 조선 5대 왕에 즉위했지만 2년 3개월 만에 갑자기 세상을 떠나고 12살의 어린 조카 "단종"이 1452년 조선 6대 왕위에 오르자 왕권의 야심을 품게 됩니다.
이후 수양대군은 1453년 한명회, 권람, 홍달손 등의 막강한 무인세력을 이용해 반대 세력인 김종서, 황보인, 조극관 등을 제거(계유정난)하고 권력을 잡은 후에 "단종"을 위협하여 왕위를 넘겨받게 됩니다.
1455년 6월 24일 조선 7대 왕에 오른 수양대군(세조)은 2명의 부인 사이에서 4명의 아들과 1명의 딸을 두었습니다.
조선 7대 왕 세조"世祖"
출생~사망: 1417년~1468년
재위 기간: 1455년~1468년
"출생~사망"
● 정희왕후 윤씨 "1418년~1483년" 판중추원사를 지낸 "윤번"의 딸로 1428년 "수양대군"과 결혼했음
- 의경세자(덕종) "1438년~1457년" (9대 왕 성종의 아버지)
- 해양대군(8대 왕 예종) "1450년~1469년"
- 의숙공주
● 근빈 박씨
- 덕원군 "1449년~1498년"
- 창원군 "1457년~1484년"
조선의 임금은 1명의 "왕비"를 두게 되는데 폐비되거나 사망하면 다음 왕비(계비)를 선택한다. "왕세자"는 왕위를 이어받는 아들이며 왕비의 아들은 "대군", 딸은 "공주"입니다.
후궁은 엄밀히 말하면 왕의 부인이 아니라 정1품 빈"嬪"에서 종4품 숙원"淑媛"까지 품계를 받는 직책입니다. 후궁의 아들은 "군", 딸은 "옹주"라고 합니다.
'역대 조선 왕 가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조선 임금 10대 왕 연산군 가계도 (0) | 2021.08.27 |
---|---|
역대 조선 임금 9대 왕 성종 가계도 (0) | 2021.08.26 |
역대 조선 임금 8대 왕 예종 가계도 (0) | 2021.08.26 |
역대 조선 임금 6대 왕 단종 가계도 (0) | 2021.08.24 |
역대 조선 임금 5대 왕 문종 가계도 (0) | 2021.08.22 |
역대 조선 임금 4대 왕 세종대왕 가계도 (0) | 2021.08.21 |
역대 조선 임금 3대 왕 태종 이방원 가계도 (0) | 2021.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