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Link
관리 메뉴

이슈멘토

역대 조선 임금 9대 왕 성종 가계도 본문

역대 조선 왕 가계도

역대 조선 임금 9대 왕 성종 가계도

빌딩멘토 2021. 8. 26. 22:32

조선의 9대 왕 성종"成宗"은 1457년 8월 19일(음력 7월 30일) 세조(7대 왕)의 첫째 아들인 의경세자(덕종)와 "소혜왕후 한씨" 사이에서 2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혈"이며 군호는 "자을산군"입니다.

 

아버지 의경세자가 20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조선 8대 왕은 세조의 둘째 아들 "예종"이 오르게 됩니다.

 

"성종"은 왕권과는 멀어지는 듯했지만 "예종"도 왕위에 오른지 14개월만에 갑자기 사망하면서 당시 왕실의 최고 어른이었던 세조의 비 "정희왕후"와 훈구대신의 뜻으로 13살의 어린 "성종"이 1469년 조선 9대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사실 조선 왕권은 장자계승 원칙이기 때문에 "예종"의 아들 "제안대군"이 다음 왕위를 이어야 하지만 당시 나이가 3세로 너무 어렸습니다.

 

또한 다음 서열은 의경세자(덕종)의 첫째 아들 "월산대군"이 되어야 하지만 몸이 허약했을 뿐만 아니라 "성종"의 능력이 더욱 월등하다는 이유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진짜 이유는 "성종"의 부인이 당시 권력의 중심이었던 한명회의 딸(공혜왕후 한씨)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469년 13살의 어린 나이에 조선 9대 왕위에 오른 "성종"은 "정희왕후"가 수렴청정(왕을 대신해 국정을 처리하는 일)을 했으며 1476년에는 친정(임금이 직접 정치를 행함)을 시작했습니다.

 

성종은 12명의 부인 사이에서 아들 16명과 딸 12명을 두었습니다.



조선 9대 왕 성종"成宗"
출생~사망: 1457년~1494년
재위 기간: 1469년~1494년

* 조선 왕은 1명을 왕비를 두지만 폐비되거나 사망하면 다음 왕비(계비)를 둔다.  왕세자는 왕위를 이어받을 아들을 말하면 왕비의 자녀는 "대군"과 "공주"라고 부른다.

 

후궁은 정1품 빈"嬪"에서 종4품 숙원"淑媛"까지의 품계를 받게 되며 자녀는 "군"과 "옹주"로 불린다. 

 

"출생~사망"

 

● 공혜왕후 한씨 "1456년~1474년" (영의정 "한명회"의 딸)

 

● 정현왕후 윤씨 "1462년~1530년" (영원부원군 "윤호"의 딸)
  - 진성대군(11대 왕 중종) "1488년~1544년"

  - 신숙공주

 

● 폐비 윤씨 "1455년?~1482년" (판봉상시사 "윤기무"의 딸)
  - 연산군(10대 왕) "1476년~1506년"

● 명빈 김씨
  - 무산군

● 귀인 정씨
  - 안양군
  - 봉안군
  - 정혜옹주

● 귀인 권씨
  - 진성군


● 귀인 엄씨
  - 공시옹주

● 숙의 하씨
  - 계성군

● 숙의 홍씨
  - 완원군
  - 회산군
  - 견성군
  - 익양군
  - 경명군
  - 운천군
  - 양원군
  - 혜숙옹주
  - 정순옹주
  - 정숙옹주

● 숙의 김씨
  - 휘숙옹주
  - 경숙옹주
  - 휘정옹주

● 숙용 심씨
  - 이성군
  - 영산군
  - 경순옹주
  - 숙혜옹주

● 숙용 권씨
  - 경휘옹주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