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Link
관리 메뉴

이슈멘토

역대 조선 임금 3대 왕 태종 이방원 가계도 본문

역대 조선 왕 가계도

역대 조선 임금 3대 왕 태종 이방원 가계도

빌딩멘토 2021. 8. 20. 23:43

태종"太宗"은 1367년 6월 13일 태조 이성계(1대 왕)와 "신희왕후 한씨" 사이에서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방원"이며 자는 "유덕"입니다.

 

아버지 이성계가 위화도회군으로 권력을 잡은 이후 신진사대부의 지원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개국하는데 많은 공을 세운 "이방원"은 조선 권력의 중심으로 떠오릅니다.

 

하지만 아버지가 두번째 부인 "신덕왕후 강씨" 사이에서 태어난 8번째 아들 "이방석"을 왕세자로 책봉하자 불만을 품고 1398년 "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자신의 형 "이방과(정종)"를 세자로 추대합니다.

 

"이방과(정종)"가 조선 2대 왕 으로 즉위한 이후 1400년에는 자신의 넷째 형 "이방간"이 "박포"와 함께 권력을 잡기 위해 반란(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지만 "이방원" 제압합니다.

 

이후 "정종"은 자신의 아들이 아닌 동생 "이방원"을 세자로 삼고 그해 11월에 양위하면서 이방원(태종)이 조선 3대 왕에 즉위하게 됩니다.

 

태종 "이방원"은 10명의 부인 사이에서 12명의 아들과 17명의 딸을 두었습니다.

 

*조선 임금은 1명의 "왕비"를 두었으며 이후 사망하거나 폐비되면 다음 왕비(계비)를 두게 됩니다. 후궁은 사실 왕의 부인이 아닌 정1품 "빈"에서 종4품 "숙원"까지 품계를 받는 직책입니다.

 

왕위를 이어받는 아들을 "왕세자"라고 하며 왕비의 아들은 "대군", 딸은 "공주"라고 합니다. 또한 후궁의 아들은 "군", 딸은 "옹주"라고 합니다.


3대 태종"太宗"
출생~사망: 1367년~1422년
재위 기간: 1400년~1418년

(초명) "출생~사망"

 

● 원경왕후 민씨 "1365년~1420년" 여흥부원군 "민제"의 딸

  - 양녕대군(이제) "1394년~1462년"

  - 효령대군(이보) "1396년~1486년"

  - 충녕대군(이도) 4대 왕 세종 "1397년~1450년"

  - 성녕대군(이종) "1405년~1418년"

  - 정순공주 "1385년~1460년"

  - 경정공주 "1387년~1455년"

  - 경안공주 "1393년~1415년"

  - 정선공주 "1404년~1424년"

 

● 효빈 김씨

  - 경녕군(이비)"1395년~1458년"

 

● 신빈 신씨

  - 함녕군(이인)" ? ~ 1467년"

  - 온녕군(이정)"1407년~1453년" 

  - 근녕군(이농)"1411년~1461년"

  - 정신옹주

  - 정정옹주

  - 숙정옹주

  - 소신옹주

  - 숙녕옹주

  - 숙경옹주

  - 숙근옹주

 

● 신빈 안씨

  - 익녕군(이치)

  - 소숙옹주

  - 경신옹주

 

● 의빈 권씨

  - 정혜옹주

 

● 소빈 노씨

  - 숙혜옹주

 

● 숙의 최씨

  - 희령군(이타)

 

● 덕숙옹주 이씨

  - 후령군

  - 숙순옹주

 

● 고씨

  - 혜령군

 

●  김씨

  - 숙안옹주

 

*후궁의 자녀들은 정확한 기록이 없는 경우도 있는데 "혜령군"의 어머니가 "선빈 안씨"이며 "근녕군"의 어머니는 "정빈 고씨"라는 기록도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