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멘토
역대 조선 임금 15대 왕 광해군 가계도 본문
조선의 15대 왕 광해군"光海君"은 1575년 6월 4일(음력 4월 26일) "선조(14대 왕)"와 후궁 "공빈 김씨" 사이에서 2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혼"입니다.
선조"는 왕비와 아들을 얻지 못해 후궁의 아들 중에서 왕세자를 염두하고 있었는데 처음에는 "인빈 김씨"의 "의안군" 또는 "신성군"을 생각했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두명 모두 15살을 넘기지 못하고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자연스럽게 "공빈 김씨"의 아들로 넘어갔는데 첫째 "임해군"은 왕의 자질이 부족했기 때문에 "광해군"이 왕세자의 후보로 떠오릅니다.
이후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피난지에서 급하게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고 "분조"(임시로 세운 조정)를 이끌게 합니다.
"광해군"은 전국 각지를 다니며 민심을 수습하며 군사를 모집하고 군조를 조달하는 등 훌륭하게 임무를 수행했고 많은 사람들의 인정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아버지 "선조"는 끝까지 "광해군"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는데 특히 1606년 "인목왕후 김씨" 사이에서 "영창대군"이 태어나면서 세자의 자리를 위협받게 됩니다.
일각에서도 현재 왕세자는 "광해군"이지만 후궁의 아들이기 때문에 "영창대군"으로 왕세자를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는데 "선조"도 같은 생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선조"가 1608년 3월 16일(음력 2월 1일) 55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광해군"이 조선 15대 왕에 즉위하게 됩니다.
조선 15대 왕 "광해군"은 10명의 부인 사이에서 아들 1명과 딸 1명을 두었습니다.(어린 나이에 사망한 자녀는 제외)
15대 광해군"光海君"
출생~사망: 1575년~1641년
재위 기간: 1608년~1623년
※ 조선 임금은 한 명의 왕비를 두게 되지만 세상을 떠나거나 폐비 되는 일이 발생하면 다음 왕비(계비)를 두게 된다. "왕세자"는 다음 왕위를 이어받을 아들이며 "왕비" 아들은 "대군", 딸은 "공주"라고 한다.
후궁은 정1품의 "빈"부터 종4품의 "숙원"까지의 품계를 받게 되며 아들은 "군", 딸은"옹주"라고 한다.
● 문성군부인 유씨 "1576년~1623년" (문양부원군 "유자신"의 셋째 딸)
- 폐세자 이지 "1598년~1623년"
● 숙의 윤씨 "?~1623년"
- 폐옹주 "1619년~1664년"
● 숙의 허씨
● 숙의 홍씨
● 숙의 권씨
● 숙의 원씨
● 소용 임씨
● 소용 정씨
● 숙원 신씨
● 조씨
이후 "광해군"은 반대 세력을 포용하지 못하고 또한 왕위를 위협하는 존재들을 무리하게 제거하면서 크게 반발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또한 명나라와 후금(청)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자 무조건 명나라를 위해 싸우자는 신하들의 의견과는 다르게 중립외교를 펼치며 사태를 관망합니다.(명나라의 요청에 1만의 군사는 보냈지만 장군 "강홍립"에게 후금에 투항하고 사정을 설명하라고 했음)
결국 1623년 4월 11일 이귀, 김류, 김자점, 이괄 등 "서인"을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켜 "광해군"을 몰아냈고 선조(14대 왕)의 5남 정원군(원종)의 아들 능양군(인조)이 조선 16대 왕에 옹립합니다.
이후 "광해군"은 가족들과 함께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가족 모두 비극적으로 세상을 떠난 후에 다시 제주도로 옮기게 되었고 1641년 묘호조차 갖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역대 조선 왕 가계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조선 임금 18대 왕 현종 가계도 (0) | 2021.09.04 |
---|---|
역대 조선 임금 17대 왕 효종 가계도 (0) | 2021.09.03 |
역대 조선 임금 16대 왕 인조 가계도 (0) | 2021.09.03 |
역대 조선 임금 14대 왕 선조 가계도 (0) | 2021.09.01 |
역대 조선 임금 13대 왕 명종 가계도 (0) | 2021.09.01 |
역대 조선 임금 12대 왕 인종 가계도 (0) | 2021.08.31 |
역대 조선 임금 11대 왕 중종 가계도 (0) | 2021.08.30 |